728x90
반응형
Template literals(템플릿 리터럴)
이전에는 "template strings"라고 불렸다.
`text ${variables} text`
백틱(` `)을 사용한다. ${}로 표현식을 넣을 수 있다. { }안에 지정한 변수 등을 넣으면 단일 문자열로 연결시켜준다. 이를 태그가 지정된 템플릿이라고 한다. 백틱 안에서 백틱 문자를 사용하려면 백틱 앞에 \를 붙인다.
let name = "osori";
let age = 99;
console.log("내 이름은 " + name + "이고 나이는 " + age +"살이야.";
// "내 이름은 osori이고 나이는 99살이야."
console.log(`내이름은 ${name}이고 나이는 ${age}살이야.`);
// "내 이름은 osori이고 나이는 99살이야."
일반 문자열과 표현식의 혼재를 좀 더 쉽게 쓸 수 있다.
지금까지 써왔던 곳 중 기억나는 곳은 라우팅 하는 곳인 것 같다, , ,,
동적 라우팅을 할 때 주소가 정해져있지 않으므로 ` `을 쓰고 안에 ${ }를 이용해서 변수를 넣어주면 편하다.
낯설어서 싫은데 이렇게 쓴다니까...할 말이 없네... 익숙해져볼게
728x90
반응형
'프론트엔드✏️ > 코드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y ... catch (트라이 캐치) (0) | 2022.05.15 |
---|---|
async/await. 동기함수 비동기함수 (0) | 2022.05.15 |
Git, GitHub (0) | 2022.05.15 |
Rest-API & Graphql-API (0) | 2022.05.15 |
React : Component, Import & Export (0) | 2022.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