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Git, GitHub
깃과 깃허브는 다르다.
깃은 항상 내 파일을 보면서 모든 파일의 변화를 기록한다.
같은 파일에 대해 각기 다른 시간대의 버전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그 하나의 파일을 갖고 다른 사람과 같이 작업을 할 수 있다. 언제 누가 어디를 수정했는지도 알 수 있기 때문에 공동작업에 유리하다.
깃허브는 클라우드에 있는 깃 제공자, 깃 히스토리를 내 컴퓨터에서 깃허브 웹사이트에 push해준다.
지극히 주관적인 사용법
1. 깃허브 회원가입, 설치
2. 깃허브 repository 생성
3. vscode에서 터미널을 열고, 깃허브 repository와 연결할 위치로 이동한다.
4. git init
5.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6. git remote -v (연결됐는지 확인)
7. git add .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변경내용 스테이징 영역에 옮김(스테이징 영역은 깃허브로 초대받을^_^아이들이라고 보면될듯)
8. git commit -m "푱푱"
9. git push (origin master)
잔디 잘 깔렸는지, repository에 업데이트 잘 됐는지 확인한다.
728x90
반응형
'프론트엔드✏️ > 코드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ync/await. 동기함수 비동기함수 (0) | 2022.05.15 |
---|---|
Template literals(템플릿 리터럴) (0) | 2022.05.15 |
Rest-API & Graphql-API (0) | 2022.05.15 |
React : Component, Import & Export (0) | 2022.05.15 |
React Router : 리액트 라우터 (0) | 2022.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