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ry … catch
예외처리 구문
예외가 발생했을 때 응답을 지정한다.
try {
//실행할 구문//
} catch (//예외 발생 경우//) {
//예외 발생시 실행할 구문//
}
뒤에 finally { }를 붙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엔 예외 발생여부 상관없이 항상 실행된다.
try 문은 중첩이 가능하다.
try {
//실행//
} catch(error) {
alert(error)
}
이런식으로 쓰고 있습니다...
c++ 배울 때는 거의 안 쓰던 문법이었던 것 같은데, 여기서는 또 다른가보다.
아니면 썼는데 나만 안 썼던 건지..?!
내 경우엔 c++ 배울 때 에러가 정말 error의 이름을 달고 나온다기보단 컴파일 단계에서 삑나거나 런타임 오류(^_T)가 났는데, 보통 원하는 값을 찾을 수 없을 때... 의 상황이었던 것 같다. 그래서 if(값)으로 해서 값이 있을 때만 실행하게 한다거나, 비어있을 땐 continue로 넘기거나 했다. 그래서 try catch를 안썼나? 그냥 추측...^ㅁ^
728x90
반응형
'프론트엔드✏️ > 코드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516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8일차 : container, presenter (0) | 2022.05.17 |
---|---|
알고리즘 - 배열, 문자열 (0) | 2022.05.16 |
async/await. 동기함수 비동기함수 (0) | 2022.05.15 |
Template literals(템플릿 리터럴) (0) | 2022.05.15 |
Git, GitHub (0) | 2022.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