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코드캠프

알고리즘 - 콜라츠 추측, while

당근먹는하니 2022. 5. 25. 18:22
728x90
반응형

  콜라츠 추측

 

 

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 주어진 수가 1이 될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입니다.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로 나눕니다. 
1-2. 입력된 수가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합니다.
2. 결과로 나온 수에 같은 작업을 1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수가 6이라면 6→3→10→5→16→8→4→2→1 이 되어 총 8번 만에 1이 됩니다. 위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하는지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단, 작업을 500번을 반복해도 1이 되지 않는다면 –1을 반환해 주세요.

//콜라츠 추측

function solution(num) {
    var answer = 0;
    let count = 0;
    while(num !== 1) {
        num % 2 === 0 ? num/=2 : num= num*3 +1;
    count++
    }
    console.log(count)
    
    return count >= 500 ? -1 : count
}

 이번엔 빨리 풀기도 했고 삼항을 처음 써봐서..ㅎㅎ 만족

다른 사람 풀이도 봤는데 한 줄로 만드신 것도 있는데 안 그래도 될 것 같아서 오늘은 이렇게 끝~!!

 

// 다른 풀이
function solution(num) {
  let count = 0;
  const result = new Array(500)
  									.fill(1)
  									.reduce(acc => {
                      console.log(acc,count)
                      if(acc !== 1){
                      count++;
                      return acc % 2 === 0
                      ? acc / 2
                      : (acc * 3) + 1;
                        } else return 1;
                    }, num)
  return result !== 1 ? -1 : count
}

멘토님 풀이 

// 500개의 빈 배열 만들고 1 채워줌 
// reduce는 500번 실행됨 
// acc는 누적값 
// 짝수일 땐 누적값을 반으로 나눠서 다음으로 전달
// 1을 만났을 때 반복문을 멈춰야지, 근데 배열 메서드는 for문과 다르게 멈추게 할 수가 없어
// 그 안에 조건문으로 엮어두기
// acc가 1일 때도 꺼내줘야해. 안 그러면 undefined 뜸(아무것도 안 보내는데 가져오려해서)
// 무조건 실행은 되지만 안쪽에서 동작하지 않게 하는 것
// 앞으로 배열 메서드 사용할 때 break처럼 쓰면 된다. 


 

임의의 수(num)를 입력받아, 0부터 해당 num까지의 인덱스를 적은 문자열을 반환하는 함수를 완성하세요
 
ex) idxString(3) => '0123'
idxString(0) => '0'
idxString(9) => '0123456789'
idxString(-2) => '0-1-2'
function idxString(num) {
	let i = 0;
  let answer = [];
  if(num >= 0) {
    while(i <= num) {
      console.log(i)
      answer.push(i)
     	++i
    }
    // console.log(answer.join(''))
  }
  
  if(num < 0) {
    while(i >= num) {
      answer.push(i)
      --i
    }
    // console.log(answer.join(''))
  }
  return answer.join('')
}

배열을 문자열로 만드는 것 - join

join() 하면 '0, 1, 2, 3' 으로 나오고 join('')하면 쉼표 떼고 '0123'으로 나온다!

 

양수, 음수 나눠서 푼 게 마음에 안 들고... 다른 방법 뭐 없나 싶은데ㅠㅠ이건 다른 사람 풀이를 못 봐서 답답 ~~~~

 

 

 

이건 팩토리얼 문제

예전엔 재귀함수로 풀었던 것 같은데 기억이 안 난다ㅎㅎㅎ  ㅎㅎㅎ 

function fac(num) {
  let fac = 1;
  let i = 1;
  while(i <= num){
    fac *= i;
    ++i
  }
  return fac;
}

 


// 코드리뷰

function kda(array) {
  // 여기에서 작업하세요.
  array = Number[K,D,A];
  K+A < D || D === 0
  if(K+A < D || D === 0) {
    return "hasu"
  } else {
    return "gosu"
  }
  return kda;
}

위부터 아래로

1. array는 매개변수

2. Number() 는 소괄호 사용, 안에 있는 걸 숫자로 형변환함

3. K, D, A가 선언되어 있지 않음. 선언 후 사용해야함

4. 대입은 우항에서 좌항으로 이뤄짐. 대입하고 싶은 것을 오른쪽에 두어야함

5. 위에서 if, else 갈래에서 나뉘고 return하기 때문에 맨 밑에 return을 또 할 필요가 없고, 함수 이름은 반환하는 것 아님

 

 

728x90
반응형